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RA의 주요 소식 및 상세 정보 소개 (세부안,지침,수혜주,SUTOYA)

by 채은아빠 2023. 4. 2.
반응형

 프롬스의 최근 이슈 

IRA

1. 개요

 

 

 

2. 아일랜드 공화주의 준군사조직의 계보

 

  • 1760년대 백의당(Whiteboys) - 영국인 지주의 수탈에 저항하기 위한 아일랜드 농민들의 비밀결사. 흰 옷을 입어 피아식별을 했다.
  • 1791년 연합 아일랜드인회(SUI) -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고 1789년 프랑스 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 1810년대 리본멘(ribbonmen) - 천주교도 농민들의 비밀결사. 1830-1850년대에 개신교도 단체인 오렌지멘과 국지전 수준의 항쟁을 벌였다.
  • 1842년 청년 아일랜드당(YI) - 1848년 혁명의 일환으로서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고 가담자 대부분이 호주 유형에 처해진다. 이들이 프랑스 공화주의자들에게 받아온 삼색기로부터 현재의 아일랜드 국기가 유래되었다.1858년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IRB) - 청년 아일랜드당의 재건세력.1913년 아일랜드 의용군(IVA) - 부활절 봉기 주도세력 중 민족주의 조직.1914년 아일랜드 여성평의회(C na mB) - 부활절 봉기 주도세력 중 여성조직.1913년 아일랜드 시민군(ICA) - 부활절 봉기 주도세력 중 사회주의 조직.
  • 1858년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IRB) - 청년 아일랜드당의 재건세력.1913년 아일랜드 의용군(IVA) - 부활절 봉기 주도세력 중 민족주의 조직.1914년 아일랜드 여성평의회(C na mB) - 부활절 봉기 주도세력 중 여성조직.
  • 1913년 아일랜드 의용군(IVA) - 부활절 봉기 주도세력 중 민족주의 조직.
  • 1914년 아일랜드 여성평의회(C na mB) - 부활절 봉기 주도세력 중 여성조직.
  • 1913년 아일랜드 시민군(ICA) - 부활절 봉기 주도세력 중 사회주의 조직.
  • 1917년 원조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 IVA의 재건조직. 아일랜드 독립전쟁 주도세력.1922년 조약 반대파 아일랜드 공화국군(ATIRA) - 아일랜드 분단에 반발, 아일랜드 내전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1969년 공식 아일랜드 공화국군(OIRA) - 마르크스주의 세력. 1972년 무장투쟁 포기.1974년 아일랜드 국민해방군(INLA) - OIRA의 무장투쟁 포기에 반발한 조직원들이 형성. 1998년 무장투쟁 포기, 2009년 무장해제.1986년 아일랜드 인민해방기구(IPLO) - INLA에서 제명당한 조직원들이 형성. 마약범죄 등의 이유로 1992년 PIRA에 의해 강제해산.1969년 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PIRA) - 강성 민족주의 세력. 북아일랜드 분쟁의 주요 참여세력. 1994년 무장투쟁 포기. 2005년 무장해제.1986년 연속 아일랜드 공화국군(CIRA) - PIRA 이탈세력 중 소수파.2006년 오글리 너 헤런(ÓnahÉ)1997년 진짜 아일랜드 공화국군(RIRA) - PIRA 이탈세력 중 다수파.2012년 마약에 반대하는 공화당 조치(RAAD) 및 소규모 무장세력과 합병하여 New IRA라 자칭. 그러나 여전히 그냥 RIRA라고 스스로를 부름. 1922년 조약 찬성파 아일랜드 공화국군(PTIRA) - 현재의 아일랜드군의 전신.
  • 1922년 조약 반대파 아일랜드 공화국군(ATIRA) - 아일랜드 분단에 반발, 아일랜드 내전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1969년 공식 아일랜드 공화국군(OIRA) - 마르크스주의 세력. 1972년 무장투쟁 포기.1974년 아일랜드 국민해방군(INLA) - OIRA의 무장투쟁 포기에 반발한 조직원들이 형성. 1998년 무장투쟁 포기, 2009년 무장해제.1986년 아일랜드 인민해방기구(IPLO) - INLA에서 제명당한 조직원들이 형성. 마약범죄 등의 이유로 1992년 PIRA에 의해 강제해산.1969년 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PIRA) - 강성 민족주의 세력. 북아일랜드 분쟁의 주요 참여세력. 1994년 무장투쟁 포기. 2005년 무장해제.1986년 연속 아일랜드 공화국군(CIRA) - PIRA 이탈세력 중 소수파.2006년 오글리 너 헤런(ÓnahÉ)1997년 진짜 아일랜드 공화국군(RIRA) - PIRA 이탈세력 중 다수파.2012년 마약에 반대하는 공화당 조치(RAAD) 및 소규모 무장세력과 합병하여 New IRA라 자칭. 그러나 여전히 그냥 RIRA라고 스스로를 부름.
  • 1969년 공식 아일랜드 공화국군(OIRA) - 마르크스주의 세력. 1972년 무장투쟁 포기.1974년 아일랜드 국민해방군(INLA) - OIRA의 무장투쟁 포기에 반발한 조직원들이 형성. 1998년 무장투쟁 포기, 2009년 무장해제.1986년 아일랜드 인민해방기구(IPLO) - INLA에서 제명당한 조직원들이 형성. 마약범죄 등의 이유로 1992년 PIRA에 의해 강제해산.
  • 1974년 아일랜드 국민해방군(INLA) - OIRA의 무장투쟁 포기에 반발한 조직원들이 형성. 1998년 무장투쟁 포기, 2009년 무장해제.1986년 아일랜드 인민해방기구(IPLO) - INLA에서 제명당한 조직원들이 형성. 마약범죄 등의 이유로 1992년 PIRA에 의해 강제해산.
  • 1986년 아일랜드 인민해방기구(IPLO) - INLA에서 제명당한 조직원들이 형성. 마약범죄 등의 이유로 1992년 PIRA에 의해 강제해산.
  • 1969년 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PIRA) - 강성 민족주의 세력. 북아일랜드 분쟁의 주요 참여세력. 1994년 무장투쟁 포기. 2005년 무장해제.1986년 연속 아일랜드 공화국군(CIRA) - PIRA 이탈세력 중 소수파.2006년 오글리 너 헤런(ÓnahÉ)1997년 진짜 아일랜드 공화국군(RIRA) - PIRA 이탈세력 중 다수파.2012년 마약에 반대하는 공화당 조치(RAAD) 및 소규모 무장세력과 합병하여 New IRA라 자칭. 그러나 여전히 그냥 RIRA라고 스스로를 부름.
  • 1986년 연속 아일랜드 공화국군(CIRA) - PIRA 이탈세력 중 소수파.2006년 오글리 너 헤런(ÓnahÉ)
  • 2006년 오글리 너 헤런(ÓnahÉ)
  • 1997년 진짜 아일랜드 공화국군(RIRA) - PIRA 이탈세력 중 다수파.2012년 마약에 반대하는 공화당 조치(RAAD) 및 소규모 무장세력과 합병하여 New IRA라 자칭. 그러나 여전히 그냥 RIRA라고 스스로를 부름.
  • 2012년 마약에 반대하는 공화당 조치(RAAD) 및 소규모 무장세력과 합병하여 New IRA라 자칭. 그러나 여전히 그냥 RIRA라고 스스로를 부름.
  • 1922년 조약 찬성파 아일랜드 공화국군(PTIRA) - 현재의 아일랜드군의 전신.

 

3. 독립

 

아일랜드 독립 전쟁 이후 1921년 12월 6일 조약을 체결하여 아일랜드는 독립하였다.

 

4. 아일랜드 내전

 

그러나 영국에서 제시한 독립 조건은 아일랜드 독립을 지지하는 측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들이 많았다.
이에 대해 찬반 의견이 대립하여 영국을 상대로 힘을 합쳐 싸우던 IRA는 분열, 서로에게 총부리를 돌리고 내전을 벌인다.
그리고 여기서 조약 반대 측이 찬성 측에 의해 궤멸에 가까운 타격을 받으며 몰락, IRA는 분열한다.

 

5. 북아일랜드 분쟁

 

다 죽어가던 IRA가 다시 힘을 키워 20세기 후반 서유럽 최대의 무장 투쟁의 핵심에 있는 단체가 된 것은, 1960년대 후반 북아일랜드 분쟁의 시작과 IRA의 분열 때문이었다.
1960년대 후반 북아일랜드에서는 다시 가톨릭계 주민들과 영국계 성공회 주민들의 분쟁이 터졌는데, 말이 분쟁이었지 사실상 수적으로나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나 압도적인 우위인 개신교 영국계 주민들의 일방적인 가톨릭 박해에 가까웠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 IRA는 공식적으로 전통적인 가톨릭 민족주의가 아닌 마르크스주의를 이념으로 채택하고 있었고, 무엇보다 세력 자체가 너무도 약해져서 효과적으로 가톨릭 주민들을 보호하지 못하였다.
이에 반발한 IRA 내부의 세력들이 IRA를 탈퇴하고 PIRA(Provisional Irish Republican Army)를 세우고 잔류한 IRA는 스스로를 OIRA(Official IRA : OIRA)로 부름으로서 IRA는 양분되었다.
초기에는 IRA의 그나마 남아있는 전력을 가지고 있었던 OIRA가 더 세력이 강하였으나, OIRA는 무장 투쟁을 포기한 반면 PIRA는 가열찬 투쟁을 벌여 점점 더 가톨릭 주민들의 지지를 얻게 되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1972년 영국군 공수부대가 데리 시에서 평화적인 시위를 벌이던 비무장 시위대에게 발포하여 13명의 민간인이 죽은 피의 일요일 사건을 계기로 PIRA는 대대적인 단체로 성장하게 된다.
1970년대면 세계 대전이 끝난지도 시간이 꽤 흘렀고 1960년대의 각종 시위들도 끝물을 보이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선진국 중에 선진국이라는 영국에서 갑자기 이런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피의 일요일 사건 당시만 해도 북아일랜드의 가톨릭 주민들은 영국 정부를 적이 아니라 개신교 주민들의 박해에서 보호해 줄 중재자로 보았으나, 이 날을 계기로 북아일랜드에서는 영국 자체의 지배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분위기가 널리 퍼졌다.
그리하여 이 날부터 IRA는 줄기차게 30년에 가까운 세월을 영국군과 프로테스탄트계 무장 세력을 상대로 자기 나름대로의 의로운, 또 외로운 투쟁을 벌였다.
투쟁 과정에서 당시 각종 테러 사건을 통해 영국과 한창 각을 올리던 무아마르 카다피의 리비아와, 로비와 머릿수, 언플로 인해 연방정부와 치안 당국이 눈을 감아 준 미국의 아일랜드계 미국인들의 지원을 받아 공간적으로 상당히 제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돌격소총과 RPG, 심지어 스팅어 대공미사일도 보유해 저강도 분쟁을 벌이기에는 충분한 화력과 물리력까지 얻었다.
뿐만 아니라 팔레스타인의 PLO와 서로 교관과 훈련 장소를 교환하기도 하고, 저 멀리 중남미 콜롬비아의 FARC와도 관계를 맺는 등 전 세계로 아들딸들을 보낸 아일랜드의 역사적 전통에 충실하게 범세계적인 커넥션까지 구축했다.
여기에 전직 영국군 출신 인사들도 받아들일 정도로 양적 규모도 커졌다.
IRA는 1979년 영국 왕족인 루이 마운트배튼 백작이 타고 있던 요트에 폭탄을 설치하여 끔살해버렸는데, 동승한 가족 일부와 선원도 같이 사망했다.
IRA는 엘리자베스 2세에게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죽은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복수라고 발표하였다.
IRA의 성명서 원문에선 아예 '살해'가 아니라 사형(execution)을 했다고 표현했다.
IRA를 지지하던 현지 언론은 "영국 왕족도 바다 위에서 죽으니까 한낱 물고기 밥이 되었을 뿐이다.
"라고 찬양했던 적도 있다.
어쨌든 이들은 영국의 정부 요인을 노린 테러를 행하면서 영국군에 대한 공격도 멈추지 않았다.
결국 해마다 영국이 북아일랜드에 쏟아붓는 인명과 예산은 날로 불어났고 그에 비례해서 IRA의 활동도 더욱 과격해지기 마련이었다.
북아일랜드 시가지에서 L1A1 SLR을 쓰고 있는 영국군 병사들이 찍힌 사진에는 이런 안타까운 뒷배경이 있다.
그러나 문제는 영국군만이 아니라 전혀 관계없는 민간인들까지 말려들어서 피해를 입는 일이 늘어나는 데에 있었다.
이를 구실로 내부적으로도 IRA를 비난하는 여론이 높아졌고 냉전이 해체되면서 화해 무드도 불겠다, 이래저래 테러 활동이 좋은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자 1990년대 들어 신페인당도 강경 노선에서 전환하여 테러보다 민주적인 정치적 투쟁으로 아일랜드 통일을 달성하겠다고 점차 노선을 바꾸게 된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 민족주의파, 얼스터 연방주의파, 영국 정부 사이의 지지부진한 교섭으로 인해 정세 불안정이 계속되다가 1998년 아일랜드 정부, 영국 정부와의 3자 협상으로 벨파스트 협정을 체결했으며, 신페인당과 영국과의 협상을 통해 2005년에는 공식적으로 무장 투쟁을 철회하고 비축한 무기들을 파기함으로서 총이 아니라 선거로 투쟁 방식을 바꾸었다.
아직 갈등의 골은 크지만 20년 전 당시만 해도 이 문제는 거의 발칸반도 급 문제로 답이 없다고 취급되었으니 장족의 발전을 이룬 것이다.

 

6. 분열과 현재

 

굿 프라이데이 협정에 반발한 소수의 과격파는 무장 해제에 반대하며 지금까지도 산발적으로 테러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런 무장 투쟁을 일으키는 사람들은 이후 리얼(REAL) IRA라고 지칭되고 있다.
1986년 PIRA에서 갈라져 나온 아일랜드 공화국군 연속파(Continuity Irish Republican Army; CIRA), 1997년 PIRA의 무장 투쟁 포기에 반발해 나온 아일랜드 공화국군 진정파(Real Irish Republican Army; RIRA) 등이 있다.
그리고 2012년 7월 26일, 이런 잔존 분파들의 대부분이 새로운 IRA(New IRA)를 구성하였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영국이 북아일랜드에서 철수해야만 아일랜드의 자유를 얻기 위한 무장 투쟁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며 '도발과 분쟁을 선택한 것은 우리가 아니라 영국'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들 CIRA와 RIRA는 아일랜드 정부가 지정한 불법 단체이며, 영국 정부, 미국 정부는 CIRA, RIRA를 테러 조직으로 규정한다.
CIRA는 세력이 작아서 2000년대 중반 이후 별 활동을 않고 있다.
RIRA는 마약상이나 갱스터 같은 범죄자들과도 연루되어 있으며, 특히 더블린에서 이러한 아일랜드 마피아 같은 범죄자들과 제휴 및 협력, 혹은 갈등으로 갱전쟁까지 벌인 혐의로 비난받고 있다.
한동안 잠잠했던 상황이 브렉시트로 인해 바뀌어버렸다! 브렉시트 후에는 큰 사건은 없지만, 무기 소지 등 체포는 이어지고 있다.
다.

 

7. 장비

 

북아일랜드 분쟁기 아일랜드 공화국군 보병장비
 
  • 배럭 버스터 (Mark-15 Barrack Buster, Barrack buster)영어 위키 - 1972년부터 현재까지 IRA이 주로 애용하는 수제 박격포. 비뢰포와 유사한 수제 박격포이다. 수제 무기라서 정밀 타격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재료를 구하기 쉽고 가격이 저렴하고 북아일랜드 주둔 영국군과 왕립 얼스터 경찰과 친영 세력인 개신교도들에게 속을 박박 긁어 주는 효과가 있다. 물론 압수당해 몇번이나 파괴되지만 앞서 말한 장점 덕에 또 만들어서 쓰고 있을 정도(상황에 따라 개량되기도 했다). 이것 때문에 다우닝 가 10번지 문을 철문으로 바꾸게 한 정도. 뿐만아니라 1994년 히드로 공항도 포격하는 사건(1994 Heathrow mortar attacks, Heathrow mortar attacks)이 발생했다. 여담으로 저 멀리 일본에서 신좌파(新左翼)들이 나리타 공항 공격할 때 쓴다. 물론 IRA이 쓰는 것과 다르다.
  • RPG-22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공감 버튼 꼬옥 눌러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