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롬스의 최근 이슈
임금
1. 개요
군주를 의미하는 순우리말로 '군주국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우두머리'이다.
자세한 것은 군주의 칭호 문서로.'나라님'이라고도 한다.
나라님이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표준어이고 나랏님은 비표준어이다.
임금의 집안을 '경실(京室)'이라고 한다.
임금이 왕이면 '왕실', 임금이 황제이면 '황실'이라고도 한다.
다.
자세한 것은 군주의 칭호 문서로.'나라님'이라고도 한다.
나라님이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표준어이고 나랏님은 비표준어이다.
임금의 집안을 '경실(京室)'이라고 한다.
임금이 왕이면 '왕실', 임금이 황제이면 '황실'이라고도 한다.
다.
2. 상세
그 어원에 대해서는 신라 시대에 군주를 나타내는 고유명칭 중 하나인 '이사금'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설이 가장 대세로, 이와 유사하게 신라어가 어원이라고 여겨지는 순우리말은 서라벌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측되는 서울(수도를 뜻함)이 있다.
이외에도 단군 왕검처럼 고조선에서 지도자를 뜻하는 표현이던 '왕검'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는 설과 태양신 니마와 태음신 고마의 합성어로 보는 설, 용비어천가에 임금이 '님금'으로 적힌 것으로 보아 군주를 뜻하는 '금'(검)에 높임말 '님'이 결합한 것으로 보는 설 등이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김대문의 글을 인용해 이사금의 어원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남해왕이 죽은 후, 그의 아들 유리는 석탈해가 어질다 하여 왕위를 그에게 양보하려고 했다.
탈해는 이를 여러 번 사양했으나 유리가 연이어 청하자 말하기를,"옛날부터 덕이 있는 사람은 이의 수가 많다고 하니, 떡을 깨물어서 잇금이 많은 사람이 왕이 되도록 합시다.
"결국 이빨 자국이 많은 유리왕이 먼저 왕위에 올랐고, 석탈해는 유리의 뒤를 이어 군주가 되었다.
이 때부터 신라에서는 군주를 이사금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사금이란 잇금(잇자국)이 많은 분이란 뜻이라고 한다.
옛날에는 이의 수가 많은 사람이 똑똑하다고 생각하는 관념이 있었다.
중국이나 서양에서도 비슷한 관념이 있었다.
그러나 이 유래담은 ‘이가 많으면 현명하다’는 김대문 당대(통일 신라 시기)의 속설에 기대어 용어의 의미를 풀이한, 일종의 민간어원에 가깝다.
즉, 그 어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고유어의 유래를 정치적 일화와 관련시켜 재미있게 꾸며낸 이야기로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
한편, 승정원일기 등 한자로 기록된 공식 기록에서는 인군(人君)이라는 표기되어 있으며 고려사 등의 고려 기록 역시 인군(人君)으로 쓰고 있다.
일단 인군이란 단어 자체는 춘추좌씨전에도 나올 정도로 군주를 일컫는 오랜 표현 중 하나로, 청나라 시대에도 황제를 일컬을 때 쓰이는 등 오랫동안 제법 자주 쓰인 단어였다.
다만 유독 조선, 고려 등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였는데, 마침 뜻이 유사한 한자 단어가 발음마저 유사한 탓에 임금을 한자로 표기할 때 인군(人君)으로 대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인군(人君)에서 우리말 임금이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하나, 당장 중세 국어 어형인 '님금'부터가 '인군'의 당시 한자음인 'ᅀᅵᆫ군'과는 거리가 있을뿐더러 신라시대의 어형인 '닛금'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음운적 유사성은 더욱 떨어지기에 학계에서는 이러한 설을 정설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펴낸 조선어 홍보물이나 친일 조선인 인사들의 글에서는 당연히 천황에 대해 '임금님'이나 '나라님'이라고 일컫기도 했었다.
이외에도 단군 왕검처럼 고조선에서 지도자를 뜻하는 표현이던 '왕검'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는 설과 태양신 니마와 태음신 고마의 합성어로 보는 설, 용비어천가에 임금이 '님금'으로 적힌 것으로 보아 군주를 뜻하는 '금'(검)에 높임말 '님'이 결합한 것으로 보는 설 등이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김대문의 글을 인용해 이사금의 어원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남해왕이 죽은 후, 그의 아들 유리는 석탈해가 어질다 하여 왕위를 그에게 양보하려고 했다.
탈해는 이를 여러 번 사양했으나 유리가 연이어 청하자 말하기를,"옛날부터 덕이 있는 사람은 이의 수가 많다고 하니, 떡을 깨물어서 잇금이 많은 사람이 왕이 되도록 합시다.
"결국 이빨 자국이 많은 유리왕이 먼저 왕위에 올랐고, 석탈해는 유리의 뒤를 이어 군주가 되었다.
이 때부터 신라에서는 군주를 이사금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사금이란 잇금(잇자국)이 많은 분이란 뜻이라고 한다.
옛날에는 이의 수가 많은 사람이 똑똑하다고 생각하는 관념이 있었다.
중국이나 서양에서도 비슷한 관념이 있었다.
그러나 이 유래담은 ‘이가 많으면 현명하다’는 김대문 당대(통일 신라 시기)의 속설에 기대어 용어의 의미를 풀이한, 일종의 민간어원에 가깝다.
즉, 그 어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고유어의 유래를 정치적 일화와 관련시켜 재미있게 꾸며낸 이야기로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
한편, 승정원일기 등 한자로 기록된 공식 기록에서는 인군(人君)이라는 표기되어 있으며 고려사 등의 고려 기록 역시 인군(人君)으로 쓰고 있다.
일단 인군이란 단어 자체는 춘추좌씨전에도 나올 정도로 군주를 일컫는 오랜 표현 중 하나로, 청나라 시대에도 황제를 일컬을 때 쓰이는 등 오랫동안 제법 자주 쓰인 단어였다.
다만 유독 조선, 고려 등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였는데, 마침 뜻이 유사한 한자 단어가 발음마저 유사한 탓에 임금을 한자로 표기할 때 인군(人君)으로 대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인군(人君)에서 우리말 임금이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하나, 당장 중세 국어 어형인 '님금'부터가 '인군'의 당시 한자음인 'ᅀᅵᆫ군'과는 거리가 있을뿐더러 신라시대의 어형인 '닛금'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음운적 유사성은 더욱 떨어지기에 학계에서는 이러한 설을 정설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펴낸 조선어 홍보물이나 친일 조선인 인사들의 글에서는 당연히 천황에 대해 '임금님'이나 '나라님'이라고 일컫기도 했었다.
3. 유형
- 암군(혼군)
- 명군
- 성군
- 폭군
4. 용례
- 한자로 '林檎'(임금)이라 쓰인 말이 있다면 이는 사과, 보다 정확히 능금을 뜻하는 말로, 우리가 아는 '임금님'의 뜻으로 쓰인 게 아니다. 두음법칙 때문에 '임금'이 되었을 뿐 '수풀 림(林)'자가 쓰인 '림금'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한의학적 성질을 얘기하거나 사과 품종을 설명하다가 나오는 게 아닌 이상 쓰이는 일이 없는 단어지만, 일본에서는 아직도 사과를 りんご(林檎)라고 칭한다.
- "가난은 나라님도 못 구한다."라는 속담도 있다.
- 공화국이 된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이에 빗대어 '나라님'이라고 한다. 물론 대통령으로 선출된 사람도 역시 국민이고 선출된 공직자라는 측면에서 혈통에 근거한 세습 군주이자 한 나라의 주인인 전근대적 군주와는 차이가 크고 대통령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면이 있고, 또 일각에서는 이를 근거로 빗대어 표현하는 것에 거부감을 표출하기도 하나 국가의 대소사를 관장하는 최고권력자라는 측면에서 비슷하므로 그와 같이 통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예시1 예시2 이 표현은 주로 대통령의 언행과 해당 정부의 정책을 비판할 때 쓰인다. 엄밀히 말하면 공화국에서 나라의 주인은 공무원이 아니라 국민이므로 공화국에서 진정한 나라님은 바로 국민 자신이다. 국민이 자신이 아니라 대통령을 나라님이라고 부르는 것은 아직 국민 스스로가 자기야말로 나라의 주인이며 대통령도 자기에게 고용된 하인일뿐이라는 주인 의식을 각성하지 못했다는 것이니 굉장히 씁쓸하기는 한데 사실 이는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다른 공화국들도 마찬가지다. 대다수 국가들의 민주주의, 공화주의 역사가 대부분 100년도 안되는 데다가 민주주의, 공화주의라는게 해당 국가들은 원하지 않았으나 결국 미국의 영향을 받거나 강제로 이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 이전까지 다른 나라들도 전제군주국이거나 독재국가였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공감 버튼 꼬옥 눌러주세요 ♥
반응형
댓글